/사진=게티이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한국환경연구원(KEI)이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기후변화’를 꼽았습니다. 2021년 당시(39.2%)에 비해 30%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68.2%의 응답률을 기록한 건데요. 아마도 이 짧은 기간 동안 우리가 기후위기를 훨씬 심각하게 받아들이게끔 하는 여러 가지 징조가 있었기 때문일 겁니다. 과거에 비해 훨씬 오랫동안 이어지는 무더위나 3월에도 쏟아지는 눈, 빠르게 녹아버린 남극의 빙하 같은 것들 말입니다. 하지만 같은 조사 결과,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 불안감(75.7%)과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면서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58.4%)’이라는 응답이 12%포인트 이상 감소하고, ‘생활의 편리함 우선(20%)’이라는 응답은 8%포인트 가까이 증가했죠. 기후변화나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증가하는 것과 별개로, 친환경적 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는 줄어들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 이유로는 ‘손실’에 대한 공포가 있습니다. 친환경적 행동이 시간이나 건강, 비용면에서 여러모로 손실을 유발한다는 건데요. 기후위기와 우리의 물질적·심리적 손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기후위기의 시대, 친환경과 경제는 어떻게 함께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 이런저런 ‘-코노미’ 이야기를 다룰 ‘왓코노미’에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탄소 발자국, 그게 대체 무슨 발자국이기에‘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이라는 개념을 아시나요? 기후위기가 본격적인 화두로 등장하면서 여기저기서 꽤 많이 들려온 단어라 아마 들어본 적 있으실 텐데요. 탄소발자국은 개인을 비롯해 기업 등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뜻하며 대체로 1년 뮤지컬배우 박혜나 /사진=샘컴퍼니 제공 뮤지컬배우 박혜나가 생애 첫 단독 콘서트를 연다. 실력으로 정평이 난 배우인 만큼 '보컬 차력쇼'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줄 전망이다.박혜나는 오는 5월 10, 11일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에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에서 단독 콘서트 '박혜나의 나나랜드: 로드 투 나나랜드(ROAD TO NANALAND)'를 개최한다.2006년 데뷔 후 19년간 무대에 서 온 그가 선보이는 첫 단독 콘서트다. 지난해 딸을 출산한 박혜나의 복귀 무대이기도 하다. 박혜나는 "복귀하면서 좋은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그게 콘서트가 됐다"면서 "19년의 배우 생활도 돌아볼 좋은 기회가 때마침 주어진 것"이라고 말했다.뮤지컬 '위키드', '하데스타운', '이프덴', '식스 더 뮤지컬' 등에서 활약했던 박혜나의 목소리를 라이브 밴드 연주와 함께 들을 수 있다. 박혜나는 "가요도 부른다"면서 "팬들에게 신청곡 리스트를 받았다. 팬분들이 어떤 곡을 가장 좋아하는지 봐서 곡 리스트를 완성하려고 한다"고 말했다.19년의 여정을 돌아보는 과정은 어땠는지 묻자 박혜나는 "처음에는 '무슨 노래를 불러야 하나. 뭐 없을 텐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리스트를 쭉 적어 내려가서 놀랐다. 꽤 오래 했구나 싶더라. 또 다 센 역할을 해서 엔딩곡 수준의 곡들만 모이더라"며 웃었다.이어 "'좋은 작품에서 이렇게나 좋은 곡들을 불렀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또 이걸 콘서트 무대를 선보인다는 게 감회가 새롭고, 감사했다"고 덧붙였다.뮤지컬 '위키드'의 엘파바 역으로 큰 사랑을 받았고, 인기 영화 '겨울왕국'에서 엘사의 곡을 한국어 더빙했던 만큼 두 작품의 곡은 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혜나는 "내 여정의 대표곡이 들어갈 수밖에 없더라"면서도 "'위키드'의 '디파잉 그래비티(Defying Gravity)'는 너무 많이 불러서 넣을지 말지 고민했다. 제일 난제였다. 아마 콘서트에서 부르기 전까지도 제일 많이 고민할 거 같다. 결론은 '오리지널처럼 부르자'일 듯싶다"고 전했다.자신이 만든 리스트와 팬들이 보낸 신청곡이 겹치는 게 많았다고 밝히며 "내가 한 작품과
/사진=게티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