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도널드 트럼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4-09 15:42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국립건축박물관에서 열린 ‘전미 공화당 의회위원회(NRCC)’ 만찬 행사에서 연설 도중 손가락으로 청중석을 가리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본게임이 시작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해 ‘최악의 침해국’(대미 무역 흑자국)으로 규정한 57개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9일 오전 0시 1분(현지시간, 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을 기해 발효되면서다. 지난 4일 ‘기본 관세 10%’로 관세전쟁의 서막이 시작됐다면, 지금부터는 한 치도 물러서지 않는 미ㆍ중 간 치킨게임을 핵심축으로 한 글로벌 관세전쟁의 본편이 펼쳐진 셈이다. 한국의 경우 25%의 상호 관세율이 적용된다. 유럽연합(EU) 20%, 일본 24%, 인도 26%, 대만 32%, 베트남 46% 등이다. 중국에는 84%의 상호 관세가 부과된다. 당초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대중(對中) 상호 관세는 34%였는데, 중국이 상응하는 보복 관세(34%)를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적용하겠다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8일 기존 34%에 재보복 관세 50%를 더한 84%의 상호 관세를 매기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中 보복은 실수”…104% ‘관세폭탄’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차례 걸쳐 10%씩 부과한 추가 관세 20%에 9일 새롭게 적용되는 상호 관세 84%까지 총 104%의 ‘관세 폭탄이’ 중국에 떨어졌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백악관 대변인은 8일 브리핑에서 “중국이 보복한 것은 실수였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 대 맞으면 더 세게 받아친다. 중국에 대해 104%의 관세가 발효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국공화당의원위원회(NRCC) 만찬 행사에서 “많은 나라들이 우리를 엄청나게 갈취했지만 이제는 우리가 갈취할 차례”라며 “여러 국가가 우리와 협상하길 원한다. 어느 시점에는 중국도 관세에 관해 협상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그러면 그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텔레그램 채널에 글을 올려 생포된 북한 병사 2명이 다친 상태로 키이우로 이송됐으며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의 심문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연합)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김정은 장군님!”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서 포위된 북한 병사 한 명이 외친 말이다. 곧이어 그는 수류탄을 품고 자폭했다. 우크라이나 특수부대 관계자는 “그는 붙잡히느니 죽음을 택했다”고 전했다.북한군이 수개월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전쟁에 직접 참전하며 빠른 속도로 적응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우크라이나와 미국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작년 12월부터 약 1만2000명의 병력을 쿠르스크 전선에 파병했으며, 올해 들어 추가로 3000여 명을 더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초기엔 참호를 파거나 병참 업무를 맡았지만, 러시아군의 피해가 커지면서 전방에 배치되기 시작했다.전투 방식도 달라졌다. 처음에는 대규모 병력이 장갑차나 포병 지원 없이 밀고 들어와 우크라이나군 드론의 손쉬운 표적이 됐다. 그러나 불과 몇 주 만에 소규모 분산 전술, 드론 회피 전술, 미끼 병사 활용 등 현대전 양상에 맞춰 적응하기 시작했다. 현장에 투입된 한 병사는 “얕잡아봤는데, 시간이 갈수록 이들이 위협적으로 느껴졌다”고 말했다.처음에는 북한군들은 드론을 그저 쳐보기만 했고 그것이 위협이 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듯 했지만 빠른 시간에 드론을 피하거나 격추하는 기술을 익히고 있다. 우크라이나 당국이 공개한 영상과, 휴먼라이츠재단의 코리아 데스크가 분석한 문서에 따르면, 북한군은 한 명이 미끼 역할을 하고, 나머지 병사들이 드론을 향해 사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우크라이나 병사들과 전문가들은 북한군과 러시아군과의 통합수준도 높아지고 그들이 높은 체력과 인내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드론의 발달로 인해 보병의 생존이 더욱 어려워진 현대전에서 북한군의 ‘포화 속 전진 의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2,188
어제
1,597
최대
4,214
전체
2,112,512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