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족욕장 [문서연 여
딸기족욕장 [문서연 여행+ 기자] 영덕 대게, 영광 굴비, 횡성 한우. 고유명사처럼 지역에 졸졸 따라다니는 특산품이 있다. 과일의 대표주자로는 ‘논산 딸기’. 국내 딸기 생산 비율 15%를 차지하는 만년 1위 지역이다. 충청도 사람들은 전국 딸기가 전부 논산에서 나는 줄 안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딸기 위상이 하늘을 찌르는 곳이다. 논산 딸기축제 개막식 [사진 = 논산시] 논산 딸기가 세계화를 노리고 있다. 논산시는 지난 2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형 쇼핑몰에서 ‘2025 논산시 농식품 해외박람회’를 개최했다. 첫날 방문객만 8만5000여 명. 인도네시아 현지 유통업체와 353억 원 규모의 수출 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이뤘다. 오는 6월엔 ‘2027 논산 세계 딸기 산업 엑스포’ 개최 정부 공식 승인을 앞두고 있다. 전 세계인의 고유명사 ‘LA 갈비’ ‘노르웨이 연어’가 부러웠다면 ‘논산 딸기’에 기대를 걸어 봐도 좋다. 논산 딸기축제 전경 [사진 = 논산시] 그 위상을 보여주듯 ‘제27회 논산 딸기 축제’도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축제 첫날인 목요일부터 사람이 몰려 주말까지 문전성시를 이뤘다. 4일간 열린 축제 방문객만 53만 명. 딸기가 잘나가도 너무 잘나간다. 여태껏 논산을 대표했던 ‘논산 훈련소’에 수고했다며 바통을 뺏어 가버린 딸기의 도약, 논산 딸기 축제의 후기를 전한다. 어디까지 딸기인 거예요? 딸기에 절여진 딸기 축제 논산 딸기 퍼레이드 참가팀 [문서연 여행+ 기자] 축제에 발을 들이는 순간부터 달콤 시큼한 냄새가 코를 유혹한다. 축제는 그야말로 ‘딸기 천국’이다. 딸기 연등을 단 연못부터 각종 딸기 체험 부스가 줄지어있다. 어르신들의 머리엔 딸기 핀이 달랑달랑 달려있고, 빨갛게 옷을 맞춰 입고 온 젊은 커플들도 많았다. 논산 딸기축제 부스 [문서연 여행+ 기자] 동요 ‘멋쟁이 토마토’가 편집자주 예술경영 현장을 20년 넘게 지켜 온 서고우니 예술의전당 공연예술본부장이 무대와 객석 사이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지난해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 연극 '햄릿'의 한 장면. 예술의전당 제공 최근 예술의전당 객석 운영을 책임지는 하우스매니저와 안내를 전담하는 하우스어텐던트들이 함께 '예술의전당 공연장 에티켓 캠페인'을 시행하고 있다. 일방적 제지나 지시가 아닌 관람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건강한 관람 문화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취지다. 이런 캠페인을 벌이는 데는 이유가 있다. 공연장에서 일하다 보면 객석에서 아슬아슬한 순간들을 종종 겪기 때문이다.공연 직전이나 도중에 울리는 휴대전화 일반적 벨소리는 차라리 평범한 사례다. 서울시립교향악단 말러 교향곡 9번 실황 녹음 공연에 객석에서 갑자기 '벚꽃 엔딩' 벨소리가 울렸던 사건은 1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사건이다. 핸드폰이 울리는 음악을 하프시코드 연주자가 그대로 똑같이 따라 해 객석의 모든 사람이 기분 좋게 웃었던 기억도 있다.스마트폰의 인공지능(AI) 비서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유형의 난감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지난해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연극 '햄릿' 공연 중, 햄릿의 아버지 유령이 "어서, 어머니에게 말을 걸어드려라. 부드럽게, 다정한 아들로"라고 대사를 말하자 객석의 AI가 "네"라고 응답한 황당하면서도 웃음을 참기 힘든 상황이 있었다. 콘서트홀에서는 앙코르곡이 무엇인지 검색한 AI가 곡명을 연주 도중에 크게 알려주는 광경에 눈을 질끈 감기도 했다.커튼콜 촬영 허용 추세지만 앙코르 촬영은 삼가야 바람직한 공연 관람 태도를 안내해 놓은 예술의전당 에티켓 캠페인 설치물. 예술의전당 제공 휴대전화는 공연장 에티켓 위반의 주범이고 경우도 다양하다. 평소 약을 먹는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소리가 저녁 8시부터 주기적으로 울리는 바람에 공연의 흐름을 방해한 사례도 있다. 객석 조도가 낮은 오페라극장에서 몸을 숙이고 문자를 보내봐야 밝은 불빛이 새어나와 주변 관객의 몰입을 방해하는 행동들도 문
딸기족욕장 [문서연 여